양육비 계산기
| |

양육비산정기준표에 따른 양육비 계산기와 해설

양육비산정기준표는 3~4년마다 개정됩니다. 2021년 양육비산정기준표 시행 이후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2025년 현재에도 여전히 2021년 양육비산정기준표가 적용됩니다. 2021년 양육비산정기준표에 따른 양육비는 아래 양육비 계산기를 통해 간단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양육비 계산기 (2021년 서울가정법원 기준)

양육비 계산기

2021년 서울가정법원 양육비 산정기준표 기반

만원
만원

자녀 정보

자녀 추가
자녀 삭제
계산하기

해설

양육비 계산의 기본원칙은 이혼 후에도 최대한 자녀들이 기존과 같은 수준의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만 이혼으로 가구가 분리되면 불가피하게 비양육자에게도 추가 지출이 발생합니다. 그러한 부분을 고려하면 이혼 전과 완전히 같은 액수의 양육비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소득

  • 소득은 세전소득을 말하고, 근로소득(상여금 등 포함), 임대소득, 연금 등 모든 소득을 다 합산합니다.
  • 일방이 소득이 없는 경우 소득활동을 하지 않는 데 정당한 사유가 없다면 학력, 자격, 경력, 과거 임금 수준 등을 고려하여 추정 소득이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 소득이 없는 데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도 최소한의 양육비는 부담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소득이 없는 비양육자에 대하여는 자녀 1인당 월 30~40만원 정도의 양육비를 인정하는 것이 다수의 실무례로 보입니다.
  • 소득이 없는 양육자에 대하여는 2021년 양육비산정기준표 해설서(이하 ‘해설서’)에 자녀 나이 대별 최저 소득에 따른 양육비의 1/2을 부담하는 것을 하나의 안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양육비 계산기에서 ‘양육자 최소 부담액‘으로 나오는 금액이 해당 액수입니다.

거주 지역

  • 아이가 거주하는 지역을 말합니다.
  • 해설서에서는 도시와 농어촌을 구별하는 구체적인 기준은 밝히고 있지 않습니다.
  • 해설서에서는 통계상 도시의 경우 양육비용이 7.9% 증가하고, 농어촌의 경우 16.5%가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나, 거주지역을 도시와 농어촌으로 단순화한 후 통계상 비율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보다는 여러 사정을 고려해서 가감하는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 양육비 계산기는 통계상 가감 비율을 그대로 적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자녀의 수

  • 양육비산정기준표는 자녀가 2명인 가구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자녀가 2명인 경우 양육비산정기준표상의 표준양육비를 그대로 적용하면 됩니다.
  • 자녀가 1인인 경우 6.5%를 증액됩니다.
  •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22.4%가 감액됩니다.
  • 양육비 계산기에 자녀와 나이를 추가 입력하면 자녀 수에 맞추어 양육비가 계산됩니다.

기타 고려 요소

감액 사유

  • 비양육자가 개인회생 진행 중인 경우 다액의 양육비는 회생절차 폐지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감액의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 양육비 지급 후 비양육자에게 남는 돈이 1인 가구 최저생계비(2025년 기준 1,435,208원)에 미치지 못한다면 양육비가 감액될 수 있습니다.

증액 사유

  • 자녀에 대한 고액의 치료비 소요될 예정인 경우 증액 사유에 해당합니다.
  • 고액의 교육비도 부부가 합의한 것이거나, 자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증액 사유가 됩니다.

Similar Posts